병렬성 2

Thread와 Queue를 활용한 파이프라인 구현하기( feat. 콘웨이 생명게임 )

더보기 콘웨이의 생명 게임(Conway's Game of Life)은 1970년에 수학자 존 콘웨이(John Conway)에 의해 고안된 세포 자동자(cellular automaton)입니다. 이 게임은 "게임"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지만, 플레이어의 참여 없이 자동으로 진행되는 시뮬레이션입니다. 게임의 규칙은 다음과 같습니다: 생존: 어떤 세포에 인접한 8개의 세포 중 정확히 2개 또는 3개가 살아 있으면, 다음 세대에서 그 세포는 살아 있습니다. 사망: 어떤 세포에 인접한 8개의 세포 중 살아 있는 세포가 2개 미만이면, 그 세포는 고립되어 사망합니다. 또한, 살아 있는 세포가 3개 초과로 인접해 있으면, 그 세포는 과밀로 인해 사망합니다. 번식: 어떤 세포에 인접한 8개의 세포 중 정확히 3개가 살..

파이썬에서 외부 터미널 명령어 사용하기 ( subprocess )

파이썬에서 subprocess 를 활용해 자식 프로세스를 실행하면서, 자식 프로세스의 입출력 스트림을 관리 및 활용할 수 있습니다 import subprocess result = subprocess.run(['echo', 'Hello from subprocess!'], capture_output=True, text=True) print(result.stdout) # Hello from subprocess! 위 코드를 통해 subprocess에 터미널 명령을 넣어주면 아래와 같은 결과값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만약 내가 터미널 명령을 통한 결과값을 이용해 파이프라인을 구축하고 싶다면 Popen 클래스를 활용해 유닉스 스타일의 파이프라인을 구축해볼 수 있을 것 같은데요. 여기서 유닉스 스타일..